[피파온라인4] 독일 국대 스쿼드 (급여 185)

반응형

독일

 

 

 

 

 

오늘은 독일 국대 스쿼드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시죠.

독일에도 가성비 좋은

선수가 많아서 취향에 따라서

다양하게 스쿼드를 만들 수 있습니다.

현역 선수로만 하실 수도 있고

황금세대 케미를 받을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는데

저는 가성비 위주로

선수를 뽑아봤습니다.

 

급여 185 기준으로

구성했으니 로패 후에

팀갈 하실 때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독일 스쿼드

 

 

 

우선, 포메이션은 4213입니다.

중원에 육각형 선수들이 있어서

투볼란치로 하는게

더 효율적일 거라고 생각합니다.

 

급여는184로 1이 남기도 하고

각 포지션 별로 다양한 선수들이

있기 때문에 선택의 폭이 넓습니다.

 

그럼 선수 스텟과

대체 선수들을 함께

알아보도록 하시죠.

 

 

 

 

ST - HOT+3 토마스 뮐러

독일 st

 

 

 

 

 

 

추천 선수는 뮐러입니다.

공미나 센포로 많이 사용하는데

핫시즌은 톱으로도 충분히

좋다고 생각합니다.

적당한 키에 속가도 준수하고

골결이나 연계, 헤더도

평타 이상은 해줍니다.

 

몸싸움이 엄청 좋은 편은

아니고 체감이 약간 딱딱한

느낌이라는게 단점입니다.

 

대체 선수는 베르너입니다.

만약 연계나 헤딩보다

침투를 원하시면 추천합니다.

일단 뮐러보다는 훨씬 빠르고,

골결도 좋습니다.

 

피지컬이 좋지는 않아서

몸싸움은 별로고

헤딩이 별로 안좋아서

침투 유저가 아니라면

뮐러가 더 좋을 것 같습니다.

 

 

 

 

 

 

CAM - OTW+3 율리안 브란트

독일 cam

 

 

 

 

 

 

추천 선수는 브란트입니다.

공미에서 육각형에 가깝습니다.

빠릿빠릿하고 패스 슛 모두

준수합니다.

 

단점은 역시 몸싸움이

좋지는 않다는 점입니다.

그 외에 헤딩 말고는

모든 부분에서 1인분은 해줍니다.

 

대체 선수는 크로스입니다.

크로스를 주전으로

사용하는 분들도 많습니다.

그만큼 패스나 슛이 좋고

양발이라는 점도 큽니다.

 

하지만 체감이 조금

딱딱한 편이라는 점이

단점입니다.

 

 

 

 

 

 

LW - HOT+5 리로이 자네

독일 lw

 

 

 

 

 

 

추천 선수는 자네입니다.

직선적인 움직임이 좋습니다.

속가가 빨라서 치달 후

크로스 하기에 최적화

된 선수입니다.

빠른 윙어를 찾으신다면

만족스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대체 선수는 하베르츠입니다.

만약 속가보다는 중앙쪽으로

파고드는 스타일을 선호하시면

추천드립니다. 골결에

연계도 좋아서 직접 마무리하거나

컷백 플레이도 가능해서

주전으로 쓰시는 분도

많이 있습니다.

 

 

 

 

 

 

RW - HOT+3 마르코 로이스

독일 rw

 

 

 

 

 

 

추천 선수는 로이스입니다.

노미 시즌이 가장 좋지만

핫시즌도 좋습니다.

속가도 빠르고

크로스나 골결, 중거리

모두 좋은 편이라서

크로스나 직접 마무리 모두

가능하다는 점이 제일 좋습니다.

 

단점은 몸싸움이 안좋습니다.

피지컬 제외하고는

모든 부분에서 좋았습니다.

 

대체 선수는 냐브리입니다.

윙어 급여가 부담되시면

추천드립니다.

로이스보다는 못하지만

급여가 16이라는 점을

생각하면 좋습니다.

 

 

 

 

 

 

 

LDM - GR+5 엠레 잔

독일 ldm

 

 

 

 

 

 

추천 선수는 잔입니다.

가성비가 정말 좋습니다.

수비 스텟도 좋아서

센백으로도 사용할 수 있고

적응도에 케미까지 받으면

공격 스텟도 괜찮습니다.

 

키가 큰 편은 아니라서

헤딩 경합시 밀리는 경향이 있으나

투볼란치라서 충분히 극복 가능한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키 상관없이 성능만 보신다면

마테우스가 좋습니다.

키는 좀 작지만

몸싸움 제외하고는 모든 면에서

마테우스가 더 좋습니다.

 

급여의 여유가 있으시다면

사용하보시길 추천드립니다.

 

 

 

 

 

 

RDM - HOT+3 미하엘 발락

독일 rdm

 

 

 

 

 

추천 선수는 발락입니다.

수미 중미 공미 어느 위치에

써도 좋기 때문에 현역 선수로만

구성하시는게 아니시라면 무조건

사용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몸싸움, 패스, 헤딩, 중거리

모두 좋고 수비 스텟이 높지는 않지만

충분히 잘해줍니다.

 

단점은 체감이 각목 같은

느낌이라는 점입니다.

 

대체 선수는 고레츠카입니다.

현역 선수를 원하시면

추천드립니다.

키도 큰 편이고 수비력도

괜찮습니다.

활동량도 좋아서

원볼란치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발락보다 좋지는 않다고

생각해서 대체 선수로

추천드립니다.

 

 

 

 

 

 

LB - 18S+6 니코 슐츠

독일 lb

 

 

 

 

 

 

추천 선수는 슐츠입니다.

급여 11인걸 감안하면

좋은 편입니다.

속가도 빠르고 수비력도

나쁘지 않습니다.

또 크로스도 괜찮아서

오버래핑도 가능합니다.

 

키가 180으로 풀백 치고

작은 편은 아니지만

코너킥 시에 헤딩은 힘들기 때문에

그 점만 제외하면 급성비로 정말

좋은 선수입니다.

 

풀백에 급여를 투자하실거면

헨릭스를 추천드립니다.

가격도 싸고 슐츠보다 키가

좀 더 크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급여 차이나 나기 때문에

따로 스텟 비교는 하지 않겠습니다.

 

 

 

 

 

 

LCB - 19TS+3 다니 다코스타

독일 lcb

 

 

 

 

 

 

추천 선수는 다코스타입니다.

센백도 빠르면 빠를수록

수비하기가 편하죠.

상황에 따라서 사이드 수비도

충분히 할 수 있기 때문에

좋습니다.

 

센백으로 쓰기에 키가

큰 편은 아니라는 점이

단점이지만 그 부분을

제외하고 모든 면에서

만족스러운 모습입니다.

 

대체 선수는

할슈텐베르크입니다.

속력보다 더 안정적인

수비를 원하시는 분들께

추천합니다.

 

하지만 속가 차이가 많이 나고

그렇다고 해서 키가 더 크거나

몸싸움이 압도적인 것도 아니라서

다코스타가 더 좋다고 생각합니다.

 

 

 

 

 

 

RCB - GR+4 제롬 보아텡

독일 rcb

 

 

 

 

 

 

추천 선수는 보아텡입니다.

피지컬도 좋으면서

속가도 빠른 수비입니다.

가성비도 좋아서 독국 하시면

보아텡은 꼭 쓰시기 바랍니다.

 

키 크고 피지컬 좋은 선수들

대부분 그런 것처럼 역동작이

없지는 않습니다.,

TC시즌 보아텡은 GR보다는

역동작이 덜해서 취향따라

사용하시면 되겠습니다.

 

많은 분들이 보아텡, 훔멜스

조합을 많이 사용하십니다.

속가가 느리기는 하지만

피지컬이 좋고 수비력이

엄청 좋습니다.

 

하지만 많이 느려서

개인적으로는 답답해서

못쓰겠더라구요.

 

 

 

 

 

 

RB - TC+4 요주아 키미히

독일 rb

 

 

 

 

 

 

추천 선수는 키미히입니다.

수비 뿐만 아니라 크로스나

패스도 좋은 편이라서

풀백뿐만 아니라 수미로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태미너가 높아서

활동량도 엄청 좋습니다.

 

단점은 급여가 높다는 점과

풀백 치고는 속가가 좀

애매하지만 케미 받으면

평타는 해줍니다.

 

급여를 줄이셔야 한다면

클로스터만을 추천합니다.

급여가 9밖에 안되지만

속력이 빨라서 급성비로

사용하기 좋습니다.

 

키가 커서 헤딩 경합시

좋지만 약간 딱딱해서

느리게 느껴진다는 점이

풀백에서는 단점입니다.

 

 

 

 

 

 

GK - 19+6 마누엘 노이어

독일 gk

 

 

 

 

 

 

추천 선수는 노이어입니다.

특성도 좋은 것들만

가지고 있고 키도 적당해서

부족함 없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올리버 칸이나 슈테켄 같은

선수들도 있지만 다들

키가 190도 안돼서

비추드립니다.

 

급여가 되는만큼 시즌을

올려서 쓰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이상으로 독일 국대 스쿼드를

살펴보았습니다.

로스터 패치 후

팀갈 생각하시는 분들

참고가 되셨길 바랍니다.

 

 

 

 

반응형